신발 접착기술
- 전문가 제언
-
○ 신발의 중요성과 역할은 물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우리의 삶에 밀착되어 있다. 발과 신체에 미치는 효과는 물론 디자인과 유행 측면에서도 신발산업은 새로운 발전과 변모를 거듭하고 있다.
○ 한국의 경우 신발산업은 국가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한 축을 담당했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노동집약적 산업, 환경적 불리함 때문에 사양 산업으로 낙인찍혀 제조 거점이 한국을 떠나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 등 다른 나라로 생산거점이 옮겨갔다. 반면 제조기술과 재료의 다양성과 고급화 등의 측면에서 계속적인 재료의 발굴과 디자인에 대한 연구개발은 지속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다.
○ 신발의 디자인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나 그 부품 수가 약 100 종류에 이른다. 각 부품재료는 봉제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고 있다. 이들 접합이 불충분하면 목적하는 기능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은 스포츠화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 영역이다. 이들 접합기술의 진보가 스포츠화의 성능향상에 기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문헌에서는 런닝화를 예로 들어 접합 기술 및 그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해설하고 있다.
○ 본 문헌에서는 강하게 접합시킨다는 관점에서 서술했으나, 폐기 시를 고려한 해체 가능한 접합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오늘날 가정용 쓰레기?산업폐기물에 있어서는 분별 폐기나 자원 리사이클이 일반적으로 되어가고 있다. 반면 “신발의 폐기”로 눈을 돌리면 각 부품의 분별 폐기가 아주 어렵고, 사용 후에는 구조체 그대로로서 폐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신기술의 확립에 의해 신발의 생산성 향상?환경부하의 감소가 달성될 것을 기대한다.
○ 최근 개발된 습기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는 용매희석형이 아니기 때문에 건조공정이 필요 없어 단시간에 접합이 가능하다. 습기반응에 의해 높은 접착력을 갖게 됨으로 자동차 부품이나 제본 등의 각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제화(신발) 공정으로의 도입도 검토되고 있다.
- 저자
- Kenichi Haran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1(3)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9~96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