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액체 계면 접착제로의 미세 기포 기술
- 전문가 제언
-
○ 물질의 상태(phase)에는 고체, 액체, 기체가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일반적인 상식이다. 점착?접착에서 대상이 되는 상태는 고체와 고체를 결합시키는 것을 연상하게 된다. 피접착 고체와 고체 사이에 접착층이 존재하게 되고 대상 고체와 접착제 사이에 계면이 형성되게 된다. 점착?접착에서는 이 계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고체 이외의 대상인 액체 혹은 기체로 확대하면 기체와 액체 사이의 계면이 존재하게 된다. 기체-액체 계면에 점?접착 이론과 기술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 미세 기포(bubble)는 기포의 크기로서의 정의이나 그 상태나 이용방법에는 다양한 물질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미세 기포는 액체 중에 존재하는 버블로서의 존재이고 기체로서의 미소 사이즈의 방울이 액체 중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의료분야에서는 초음파 조영제로서의 미세 기포의 이용도 진행되고 있고 직경 수㎛의 기포 주위에 인지질이나 당 등을 코팅한 물질이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물의 전기분해 등에서 금속표면에 발생하는 미세 기포에 대하여도 보고되고 있다
○ 물의 상태를 “접착”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 경우 분자간력 등의 물리적 상호작용이나 수소결합 등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접착”을 고려할 수 있다. 입자 직경이 나노미터 수준인 점이나 대전 상태로 생각하면 분자간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또한 수소결합에 대해서도 대전의 상태에 따라서는 무언가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추정된다.
○ 본 문헌에서는 미세 기포가 갖는 특성에 대하여 접착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미세 기포가 물중에 존재함으로서 물의 접착상태(분자구조나 수소결합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에의 이용 관점에서 미세 기포 활용으로서 화훼 식물의 신선도 유지 효과나 콩 식물에 대한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이온 흡수에 대하여 미세 기포의 효과에 대하여도 소개하고 있다. 조제한 N2 미세 기포수, O3 미세 기포수, 증류수를 사용하여 ZnO 결정을 성장시켜 그의 수율?결정구조?결정의 형상을 비교하여 미세 기포 및 라디칼의 존재가 결정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저자
- Yoshikatsu Ue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1(2)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8~65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