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군용 반응성 피부제독 로션(RSDL)의 신경작용제 및 유기인 농약 제독효과

전문가 제언

화학무기 공격으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각국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피부제독제들이 군사용으로 개발, 운용되고 있으나, 캐나다에서 개발하여 운용중인 반응성 피부제독 로션(RSDL; Reactive Skin Decontamination Lotion)이 제독효과와 인체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화학작용제 분해반응 메커니즘과 제독효과 연구결과들은 국내의 차세대 피부제독제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미국의 연구사례로 RSDL을 피부 상처부위의 제독에 적용하였을 때 상처의 치료에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직까지 선진국에서도 피부의 상처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제독제가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국내에서 새로운 피부제독제를 개발한다면 상처부위의 제독과 치료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도 흡착제와 이온교환수지를 혼합한 피부제독용 흡착/분해제를 개발한 경험과 이들에 대한 화학작용제 제독성능 평가와 인체 안전성평가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새로운 피부제독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기반은 갖추어져 있다고 판단된다.

 

민수분야에서 탄소 나노튜브나 그래핀(graphene) 계열의 나노흡착제들(nano adsorbents),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유기물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를 기반으로 한 반응성 흡착제들(reactive adsorbents)도 여러 가지 독성 환경오염 물질들의 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보인 연구사례들이 발표되고 있으므로, 국방연구개발 분야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참고하여 새로운 피부제독제의 후보물질들을 찾아내고 피부제독제로 응용하기 위한 제독효과와 인체 안전성 실험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군용 피부제독제는 개인휴대품이며 생산된 다음에도 장기간 저장상태나 미개봉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개발과정에서 제독제의 가격과 저장수명(shelf life)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하며, 농약을 많이 사용하는 지역의 주민들이 농약에 의한 피부오염 상황에서 긴급히 사용할 수 있도록 민수용으로도 개발될 필요가 있다.

저자
Paul W. Elsinghorst, Franz Worek, Marianne Koll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233()
잡지명
Toxicology Lett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7~213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