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잠재력 ? 이란의 경우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및 지구온난화 대책 중 하나는 친환경 재생에너지의 개발이다. 현재 재생에너지 이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바이오매스이며 나무 등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이용은 오랜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그러나 에너지밀도가 낮고 이용에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산업시대 이후는 화석연료에게 그 역할을 넘겨줄 수밖에 없었다.
○ 그러나 최근에는 바이오매스를 다른 에너지로 전환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유기물질의 혐기성 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의 생산과 이용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세계의 바이오가스 생산에서 원료 비중은 도시하수/산업폐기물 2%, 도시폐기물 11%, 가축분뇨 28%, 농업폐기물 59%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 우리의 실생활에서 악취와 수자원오염 등 환경오염의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가축분뇨가 중요한 에너지자원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부터 폐기물의 에너지 자원화와 농촌 생활환경 및 소득 개선사업의 하나로 가축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이용 사업을 펼쳐왔으나 지속적인 보수유지와 경제성 등의 이유로 한동안 침체되어 있었다.
○ 그러나 최근 정부는 에너지정책의 일환으로 “친환경 에너지타운”을 시범 운영하면서 바이오가스의 이용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폐기물 처리시설을 세워 에너지자원을 회수하고 환경을 개선하며 주민의 소득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또한 바이오가스와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를 자체 생산하여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
○ 예를 들면 환경부는 2014년 10월에 하수와 분뇨처리장이 밀집해 있는 강원도 홍천의 소매곡리를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업지로 선정하고 가축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및 퇴비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2015년에 시설이 완공되면 생산된 메탄가스를 지역 내 도시가스로 전환해 사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외에도 청주, 아산, 경주, 남해, 순천, 김제 등 전국 13개 농촌지역을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업지로 선정하고 있는데 바이오가스 이용 확대를 위해서는 지역별 가축분뇨 생산량과 바이오가스 생산 잠재력 및 경제적인 효과를 우선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Younes Noorollahi, Mehdi Kheirrouz, Hadi Farabi Asl, Hossein Yousefi, Ahmad Hajinezhad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50()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48~754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