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모마일을 이용한 기능성 유제품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캐모마일(chamomile)은 국화과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원산지는 유럽이지만 현재는 전 세계에서 발견된다. 캐모마일은 1년생인 저먼 캐모마일(Matricaria recutita L. 또는 M. chamomilla L.)과 다년생인 로만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 다이어스 캐모마일(Anthemis tinctoria L.), 더블플라워 캐모마일(Chamaemelum nobile Plunem), 론 캐모마일(C. nobile Treneague)등이 있으나 주로 저먼 캐모마일이 알려지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캐모마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여 산화방지제나 항균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9개의 동정된 화합물 중 가장 많은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dicaffeoyl- 2,7-anhydro-3-deoxy-2-octulopyranosonic acid(diCDOA, 6.83±0.05mg /g)와 luteolin-O-glucuronide(4.80±0.54mg/g)이었다. 케모마일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코티지치즈와 첨가하지 않은 코티지치즈를 비교한 결과 첨가군의 치즈는 항산화활성이 향상되었고 외관도 양호하였다.
○ 국내에서는 캐모마일 꽃 추출물의 C. albicans 감염성 관절염에 대한 효과(김정현등 2014), 캐모마일 정유추출 및 성분분석(김환영 2009), 수입 캐모마일 차와 국산 국화차의 향기성분 비교(최성희 등 2006), 캐모마일의 생리활성(조영제 증 2005)과 향기성분(김용태등 1992), 캐모마일을 이용한 전통 민속주제조와 생리기능성(이대형 등 2002)등 다양한 연구가 추진되었다. 한편 감국, 산국, 구절초 등 국화과 식물에 관한 많은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우정향 등(2009, 2010)은 국화과 식물 16종 지상부와 꽃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보고하였다.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천연유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천연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의 탐색과 응용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식물소재와 약초에서 분리된 천연물질의 항균, 항산화, 미백, 보습, 피부노화억제 등에 대한 활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식물천연물질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 국내재배 가능한 다양한 산야초의 천연물질이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저자
- Cristina Calej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16()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4~124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