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이브리드 PVT 발전용 집열판의 성능 평가

전문가 제언

이 자료는 일반적인 태양광발전 모듈과 그 뒤편에 흑연 층과 보온재를 덧붙이고 열 흡수관을 배열시켜 물이나 공기로서 열을 흡수하여 이용하는 태양광발전-태양열 이용(PVT, PhotoVoltaic/Thermal) 집열판의 효율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열 이용 이외에도 PVT 집열판의 최대 전기출력은 79WPV 모듈의 70W보다 훨씬 높았는데 이는 물을 냉매로 하여 열을 흡수하는 PVT 집열판의 온도가 훨씬 낮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두 가지 형태의 집열판 온도 차이는 최대 16.74도 였다.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PV 발전은 청정하고 환경 친화적이기 때문에 미래의 발전자원이 될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나 아직까지는 효율이 낮고 발전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와 열을 이용을 병행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PVT기술은 이용 잠재력이 높기 때문에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도 경제성이 부족하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 문제이다. 그러나 이 자료에서 분석하고 있는 것과 같이 PVT 집열판의 뒷면에 흑연 층을 채워 넣어 온도를 낮추고 효율을 높이는 방법 등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 이후 PV 발전시스템의 보급을 많이 권장하고 있고 정부 지원을 통해 많은 PV 발전소들이 건설되어 가동 중에 있으나 2012년에 발전차액지원제도가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로 전환한 후에는 PV 발전소 보급에 어려움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PV 기술의 시장경쟁력이 높지 않아 아직까지는 정부 지원책에 기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자료에서 전하는 바와 같이 태양광발전 및 태양열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어 앞으로 태양에너지 이용 분야의 전망이 점차 개선될 것이다.

 

PVT기술은 발전과정에서 버려질 수 있는 열을 재활용함으로써 전체적인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므로 기술 개발을 통해 초기투자비를 조금이라도 낮출 수 있으면 태양에너지 이용의 전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로서는 이 기술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Ruobing Li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75()
잡지명
Applied Thermal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87~492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