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철 실린더 블록용 생형 자동조형라인에서 주형중추 이재장치의 정지예방
- 전문가 제언
-
○ 생형조형라인의 흐름에는 주형용 주형상자(flask)가 있어 상형과 하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주형상자는 서로 교대로 조형라인의 조형기에 들어가 주형을 만든다. 그 후 상형 주형상자 하형 주형상자 라인으로 나눠져 상형 주형상자에는 용융금속을 주입할 수 있는 탕구를 만들고 하형 주형상자에는 주형 안에 들어가는 핵심 실린더 중자를 설치한다.
○ 이후 용융금속 주입 라인에 반송되어 상형상자와 하형상자가 합형된 주형은 WT24 중추 이재장치에 의하여 주형상자에 1톤의 중추를 올려놓고 자동 주입장치에 의하여 용융금속을 탕구로 주입한다.
○ WT24 중추 이재장치는 냉각라인에 있는 주형상자로부터 중추를 취하여 이재대차에 의하여 중추를 운반, 용융금속을 주입하기 전에 주형상자 위에 올려놓은 장치이다. 이때에 주형상자가 어긋난 상태로 대차는 냉각라인을 반송하기 때문에 WT24 중추 이재장치에 도착하였을 때는 이재대차는 클램프하려 하지만 중추가의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클램프 불가능현상이 발생하여 클램프 엎 T/O(time over) 이상으로 라인이 정지하게 된다.
○ 이 클램프 엎 T/O의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주형상자의 차륜레일이 마모되어 이재대차가 중추를 주형상자에 올려놓기 전에 주형상자의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이재대차의 정지위치는 정해져 있어 중추와 주형상자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놓이게 된다.
○ 따라서 대책을 실시한 결과 주형상자와 중추의 위치 어긋남이 없어져 클램프 엎 T/O 이상은 0건을 유지하게 된 현장기술 개선사례를 보고하였다. 자동조형기를 설치 운영하는 주물공장에서는 이러한 설비 대책은 고려 해볼 사항이라고 사료된다.
- 저자
- kishid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87(4)
- 잡지명
- 鑄造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48~253
- 분석자
- 최*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