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페블 베드 원자로용 U-Th-Pa 기반 고연소도 연료의 중성자 타당성 연구

전문가 제언

PBR(pebble bed reactor)은 흑연-감속 가스-냉각 원자로인 초고온가스로(VHTR)4세대 원자로 6개 중 하나로, 기본 설계에서 페블이라는 구형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테니스 공 크기의 페블은 감속재로 작용하는 파이로 흑연으로 만들어지며 TRISO(TRi-structural ISOtropic) 미세-연료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PBR에서 수천의 페블이 노심을 만들기 위하여 쌓여있으며, 연료 구성요소에 대해 화학적 비활성인 헬륨이나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에 의하여 냉각된다.

 

입자로 설계된 새로운 연료 페블을 사용하는 OTTO (Once-Through-Then-Out) 구도에서의 노심 성능은 PBMR(pebble bed modular reactor)-400의 참조 다중-패스 계획과 비교할만하지만, 연료 연소도는 다중-패스 구도보다 약 20-21% 작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연료는 중성자 경제성이 증가되도록 후기 단계에서 핵분열성 연료로 변환되면서 결과적으로 연료 연소도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컴퓨터 코드 MCNPMONTEBURNS 2.0 ENDF/B-V 원자력 데이터 라이브러리에 기반을 둔 계산에서, 원래 우라늄 연료 설계의 초기 중성자 증배계수 값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플루토늄-토륨 및 소수 악티니드-토륨 비가 결정되었다.

 

PBMR-400농축도 9.6wt%인 우라늄 연료는 약 90-95GWd/T의 목표 연소도를 달성하며, Pu 또는 소수 악티니드와 혼합된 토륨 연료는 약 100-200GWd/T의 목표 연소도를 달성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차세대 원전 연구 차원에서 PBR 연구에 참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고리 1호기에 대한 조기 폐쇄 결정에 많은 의구심이 있는데 이러한 것도 우리나라의 원전 기반 기술 부족에서 오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원전의 기반 기술을 확보하여야 향후 원전의 운영에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Hoai-Nam Tran, Peng Hong Liem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80()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7~23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