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리·고화방법에 따른 지층처분 폐기물 특성 분석

전문가 제언

2015713일 오후 3시경 경북 경주시 양북면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서 방사성폐기물 16드럼(200/드럼)20톤짜리 노란색 폴라크레인에 의해 높이 50m5번 저장고에 들어갔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방사성폐기물이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 처분되었으며 처분된 폐기물은 전국 원전·병원·산업체 등에서 발생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들이다.

 

한편, 국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사용후핵연료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처리·처분방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현재는 국민을 납득시킬 수 있는 가능하고 타당한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처분방안을 위한 공론화단계에 와 있다.

 

원자력 지층처분장 부지 결정은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으로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하며, 처분장 수용능력 확대 개념은 원자력 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고준위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분리와 고화(P&C, partitioning and conditioning) 기술은 처분 폐기물로부터 몇 원소를 제거하고 폐기물 패키지들을 설치하는 처분장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처분장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준다.

 

본문에는 처분 폐기물에 대한 P&C 기술의 효과를 기술하고 있으며, 네 가지의 P&C 방법, (1) 사용후핵연료의 직접처분(once through), (2) 유리화 HLLW 유리를 처분하기 위한 전통적 재처리, (3) -악티니드(minor actinides)와 희토류원소 및 TcPu가 없는 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재처리 및 장수명 핵종 분리, (4) Sr Cs가 없이 폐기물 흐름을 처분하기 위한 재처리 및 고열출력 핵종 분리 등을 근거로 하여, 각 방법에서의 폐기물 흐름 내용이 제시되고 질량, 체적, 선형 부하용량, 열 출력 및 선형 열 출력과 같은 특성들이 확인되었다.

 

분리·고화된 지층처분 폐기물의 특성 분석에 대한 본 연구내용은 국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처분 계획 수립에 필요한 또 하나의 기술적 배경을 제공해줄 것이다.

저자
Fan Liang, Xuegang Li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85()
잡지명
Annals of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71~379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