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와 인도네시아의 태양광발전시스템 보급 경험과 고려사항
- 전문가 제언
-
○ 지난 5년간 호주는 전력망 연결 태양광발전(PV)시스템을 주택의 지붕에 설치하는 경우가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전체가구의 약 15%인 125만 가구가 전력망 연결 PV시스템을 지붕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이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의 변화로 추가적인 보급이 거의 중단된 상태에 있다. 또한 설치된 PV시스템 중에서 약 21%가 운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운영하지 않는 시스템 중 약 92%가 인버터 고장 상태로 수리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주택 소유주들이 PV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관심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열대지방에 위치해 있어 태양에너지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에서도 2010년부터 PV시스템 보급이 활발하며 2011-2012년에 100개의 섬에 PV시스템을 보급하는 프로그램과 2013-2016년에 1,000개의 섬에 PV시스템을 보급하는 프로그램 등이 실시되고 있고 2020년까지 634MWp의 태양광발전용량을 개발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 이후 태양광발전에 대한 보급을 적극 권장하고 재정적 지원을 함으로써 수많은 PV발전소가 건설되어 가동 중에 있으나 아직까지는 발전단가가 높아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발전소가 세워지지 못하고 있고 때한 대부분이 소규모의 발전용량이다. 특히 2012년부터 발전차액 지원제도를 폐지하고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를 도입하면서 재생에너지가 대규모 발전 위주로 개발되고 있어 주택용 태양광발전 보급은 거의 중단된 상태에 있다.
○ 그러나 최근에 국제적으로 태양전지 가격의 하락으로 PV시스템의 시장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장려정책을 통해 PV시스템의 대규모 보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자료에서도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택이나 건물의 지붕에 전력망 연결 PV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은 전력 첨단부하 시간대에 전력 공급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으며 또한 주택의 소유주나 관리주의 변동에 따라 관리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참고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Hugh Outhreda, Maria Retnanestri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65()
- 잡지명
- Energy Procedi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21~130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