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캔용 극저탄소강의 페라이트 결정립경에 미치는 Nb의 영향

전문가 제언

K.Imatsu에 의하면 가공 전 결정립경의 크기와 가공정도에 따라서 가공 후 강판표면 조도는 증대하고, 필름손상의 관점에서 가공 후 강판 거칠기는 억제되므로 미세립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직접 강판이 가공금형에 접촉하는 경우와 달리, 유연한 필름을 끼우는 것으로 강판표면이 일종의 자유계면으로 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밝혔다.

 

Nb첨가량과 r값의 관계에서 Nb첨가로 고용C의 석출고용에 따라 냉연집합조직의 {111}방위의 집적과 재결정 시의 {111}방위로 우선핵생성에 기인한다고 추측되는 평균 r값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라미네이트강판의 하지에 적용되는 세립이며 연질인 강으로서 0.6%Mn-0.02%Nb강이 목표 특성에 육박하지만 최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어 앞으로 계속적인 개량이 필요하다 하겠다.

 

페라이트미세화의 접근으로 고용원소의 Solute drag 효과에 의한 재결정의 지연과 탄질화물을 석출시키므로 핀정지효과에 의한 입성장의 억제를 노린 결과 Mn0.13%-Nb0.0180.097%시료는 Nb첨가와 함께 페라이트 입경이 미세화 하지만, Mn0.13%-C량과 Mn량을 약간 증대한 시료는 Nb석출물의 증가에 반하여 페라이트입경이 조대화하였다. 이들 현상의 차이는 주로 C, Nb의 양의 비율에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고순도강은 강중의 불순원소인 C, P, S, N, O 등을 최소한으로 제어하는 강을 일컬으며, 고청정강은 제품의 특수한 목적에 맞게 강도, 피로수명, 가공성, 용접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금속개재물을 최소한으로 제어하는 강을 지칭하는데, 최근에는 이들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고청정, 고순도강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업계에는 변압기 철심재료, 전기, 전자재료 등에 이용되며, 제조량은 극히 제한적이라 점차 수요창출에 노력하여야 하겠다.

 

저자
Yusuke Nakagaw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101(1)
잡지명
鐵と鋼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0~45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