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인항공기의 감지, 회피기술 동향과 전망

전문가 제언

무인 자율비행체인 무인항공기(UAS)의 새로운 로봇시대가 도래하였다. 이 로봇은 군사적 응응은 물론, 교통, 통신, 농업, 재해복구 및 환경보전 등 민간 응용과도 관계된다. UAS의 감지·회피 시스템은 신뢰성 있고 안전한 운항을 위해 국가항공시스템과 통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해설논문은 UAS의 감지·회피기술의 최근 동향과 전망에 대해 기술하였다. 감지기술, 항로계획, 항로추적, 회피기술 등을 설명한다.

 

Teal 그룹의 연구에 의하면 2011년 세계 민간 UAS 생산은 세계생산량 34억 달러의 8.7%(2.96억 달러)이며 2020년에는 세계생산량(88억 달러)5.64%(4.98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인지·회피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한 점이 유용하다. , 현재의 중앙집중식 항공교통관리의 한계 때문에 차세대 항공수송시스템은 유인, 무인 항공기가 중앙통제소의 승인 없이 항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한다. 비중앙집중식 제도의 장점은 많은 항공기가 같은 항공영역에 있을 때 2차 충돌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은 현재 120여 종 약 11,000여 기의 UAS를 운영하고 있는데, 단일 국가로는 운영종류 및 수량 면에서 압도적이다. 유럽은 국가별로 다양한 개발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EU는 기업주도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차세대 군사용 무인기개발에 나서고 있다.

 

국내의 무인항공기(드론)1990년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착수하여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정찰용 송골매와 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하여 20여개 기업이 참여하여 개발한 틸트로터(수직 이착륙헬기) 방식의 600마력급 스마트 무인기, 그리고 대한항공의 근접감시용 무인 항공기 등, 한국의 드론기술 수준은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다음으로 세계 7위이며, 소형 상용 드론은 중소기업에서도 개발이 가능하여 국내 IT기술과 협업하여 창조경제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저자
Xiang Yu, Youmin Zh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74()
잡지명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52~166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