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제어가 가능한 고상광원의 밝은 전망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절약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기존의 조명인 백열등과 형광등은 고체 광원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고체 광원이 보다 활발하게 조명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색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 개발, 발광다이오드에 적합한 형광체의 개발, 반도체성 양자점의 개발뿐만 아니라 색온도, 색순도 등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
○ 백색의 고체 광원 자료로 색순도와 효율이 고은 다양한 색을 구현 할 수 있는 양자점으로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 나노 반도체인 양자점 개발 이슈는 양자점 표면에 결함을 최소화하는 기술, 양자점 모양과 크기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기술, 응집이 없는 나노분말을 제조하고 쉘의 두께를 조절하는 기술 등을 해결하는 연구개발이 진행되어야 한다.
○ 본 개관논문에서는 고체 광원의 백색 빛을 개발하는데 이슈가 되는 향광체, 발광 다이오드, 양자점 등 재료 과학을 총괄적으로 살펴보고 색순도, 효율 등 광학 특성의 핵심 역할을 할 전자재료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도전 분야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국내의 대학 및 산업체에서 II-VI 족과 I-III-VI 족 양자점은 다양한 활용 가능성 때문에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활용측면에서 좀 더 가능성 있는 양자점 구조에 대한 연구개발이 더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면 한다. 특히 I-III-VI 족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양자점 설계와 합성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고체 광원에 적용되었으면 한다.
○ 양자점의 입도와 모양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응집이 없는 나노분말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하는 기술 개발, 발광 다이오드에 적합한 형광체의 개발과 고체 광원, 디스플레이와 광전소자 등 용도에 적합한 특성과 신뢰성 확보에 대한 개발이 되면 제품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 저자
- Chuan Xu and Kristin M. Podusk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26()
- 잡지명
-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565~4570
- 분석자
- 박*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