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질전환 식물체의 단백질 발현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 전문가 제언
-
○ 형질전환 식물체로부터 유용물질들을 생산하는 바이오공학 기술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수행되어 왔다. 특히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단백질들, 예를 들면 단일항체, 백신항원, 성장 호르몬 등이 형질전환 식물체로부터 합성이 가능하다. 동물에서 합성되는 단백질이 완전한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번역후 반응들(단백질의 입체구조 조성 및 당화반응 등)이 완료되어야 본래의 기능을 발휘한다. 식물의 유전자 발현시스템에서도 동물에서와 동일한 시스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동물의 재조합 단백질 합성이 가능하다. 특히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비용 측면에서 볼 때 동물시스템에 비해 식물시스템이 훨씬 유리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식물시스템의 개발이 현재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성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대상 단백질의 발현시스템뿐만 아니라 기주식물의 생장 혹은 기주세포의 배양조건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형질전환 식물체로부터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효율성을 높이는데 관련된 복잡한 변수를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의 두 부류로 분류하여 각 부류에 속한 요인들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관련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내외부 요인들 간의 상호 보완을 위한 바이오공학 기술의 개발이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최적화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이 논문에 강조되어 있다.
○ 현재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치료용 재조합 단백질은 주로 미생물이나 동물세포에서 생산되고 있다. 발현시스템의 기능면에서 볼 때 미생물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식물은 동물과 유사한 발현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기주의 기능면에서 비교해 볼 때 형질전한 식물체가 여러 가지 면에서 동물보다 유리하다. 따라서 현재 국내외 바이오 산업체와 제약회사에서는 치료용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생산을 위해 연구 및 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으며, Pfizer제약사는 인간 치료용 재조합 단백질을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자뿐 아니라 관련 산업체는 이 논문에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Kristian K. Ullrich, Manuel Hiss, Stefan A. Rensi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1~67
- 분석자
- 정*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