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프리카의 셀룰로오스 에탄올 생산 전망

전문가 제언

셀룰로스 에탄올 생산에 장애가 되는 주요인은 복합적이며 견고한 구조를 가진 리그노셀룰로스의 전처리, 가수분해, 발효 및 5탄소당인 에탄올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다. 선진국이나 개도국은 점진적으로 셀룰로스 에탄올을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나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셀룰로스 바이오매스가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연구 및 개발노력이 미흡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아프리카에서 흔한 곡물잔사, 도시폐기물의 이론적 에탄올 잠재력(220억 리터)을 추산하였고, 상업적 효소 대신 고체상 발효에 의한 현지 조-효소를 사용하면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하였다. 리그노셀룰로스에 대한 전처리 방법과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폐기물을 최적화할 수 있는 연구가 절실하며 가까운 장래에 셀룰로스를 포도당으로 가수분해하는 불균질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아프리카현지의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중소규모 에탄올 생산설비로 환경 친화적인 셀룰로스 가수분해의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농업 잔사를 에탄올로 변환시키는 시범공장이 몇 개 있다. 미국 York76,000L/y의 밀집 발효공장과 스페인 Salamanca5ML/y의 밀짚과 보리짚 공장 및 95ML/y의 미국 Kansas의 여러 형태의 농업잔사 발효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2008514DuPont과 덴마크의 Danisco A/SGenencor 사업부는 DuPont Danisco Cellulosic Ethanol LLC를 설립하였다. 이 회사는 50 50 지분의 합작사이고, 비식품 공급 원료에서 생산된 차세대 바이오 연료인 셀룰로스 에탄올을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업화시키려는 합작사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농림축산식품부 지원으로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그노셀룰로스계 바이오에탄올 생산 공정 효율 향상을 위한 청정공정 기반 통합공정 개발논문,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목질계 에탄올 생산을 위한 대량 생산 시스템 개발책자 발간 및 여러 학술논문이 활발히 발행되는 등 기초연구는 활발히 진척되고 있다.

저자
Edem Cudjoe Bensah,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9()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1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