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이용한 천연가스 복합사이클 내 CO2 포집에 대한 경제적 분석

전문가 제언

최근 여러 해 동안 화석에너지원의 사용과 연관된 환경문제들, 특히 CO및 그것의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 등의 문제들이 다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대기 중으로 CO배출을 제한할 수 있는 전기 발전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해졌다. MCFC를 발전소에 결합하여 이용하면 발전소의 에너지 효율을 감소시키지 않고도 CO를 농축시켜 포집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의한 천연가스 복합발전 내 CO포집의 경제적 관점을 조사했고, 두 가지 CO포집장치(극저온법과 순산소연소법)가 적용된 NGCC+MCFC 발전소가 분석되었다. 이런 두 가지 시설은 최대 70~75%CO를 포집하면서 약 20%까지 총 전력생산량을 증가시킨다. 이런 특징 때문에 NGCC+MCFC 통합적용은 경쟁관계의 CO포집기술들과 비교해서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MCFC 기술이 향후에 달성될 수 있는 목표치인 1,000~1,500/kW의 범위까지 MCFC 개별비가 떨어진다면 기존의 기술들과 비교해서 성공적인 경쟁력이 확보될 것이다. 이런 미래를 내다본다면 CO분리공정으로써 극저온법 적용 시의 더 높은 효율이 순산소연소법 보다 더 좋은 경제적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연료전지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이 선진국의 80%, 시스템과 부품 소재 간 서플라이 체인(supply chain)은 구축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연료전지 경제성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내수시장 창출을 위한 보급지원을 적극 실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 연료전지산업은 포스코에너지가 MCFC, 두산 FC가 백금촉매 연료전지(PEMFC), LG퓨얼셀파워 시스템즈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를 다루고 있다. 국내 연료전지 발전시설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MCFC 기술은 발전효율 향상과 내구성 강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S. Campanari, P. Chiesa, G. Manzolini, S. Bedog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130()
잡지명
Applied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62~573
분석자
김*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