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연구에서 강우 입자크기 측정법
- 전문가 제언
-
○ 구름 강우의 특성을 관측하여 데이터화 하는 것은 기후변화시대에 가장 중요한 기상업무이다. 구름의 강우특성은 호우를 예측하기위한 단시간 강우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핵심적 요소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순환을 파악하여 가뭄과 홍수를 예측하고 사전에 방지하는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
○ 항공기의 아이싱(icying) 방지나 난류예측, 광학적 전자기기 개발에도 구름의 강우입자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오늘날 전자병기를 사용하는 군사무기 체계에서도 구름의 물리적 특성과 강우입자의 크기분포는 중요한 정보가 된다. 오늘날 각국의 기상자료 확보를 위한 기상정보전쟁이라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기상청을 중심으로 2010년 이후 구름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강우입자분포(Drop Size Distribution; DSD)를 측정하는 기기와 마이크로 강우레이더(Micro Rain Radar; MRR) 그리고 레이저 우량계(Laser Precipitation Meter; LPM) 등이 도입되어 대관령과 전라남도 보성 등에서 측정하고 있다.
○ 그러나 관측 자료의 불확실성과 측정의 난이도로 아직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자료의 정규화(normalization)도 완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들 자료에 대한 각 정부 부처와 민간요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지만 자료의 신뢰성과 경험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 본 연구에서 밝힌 광학강우 입자측정기의 측정 한계는 0.5~5.5mm 강우입자크기 범위 내에서 자료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고 0.1~20mm/h 범위의 강우강도에서 구름고도 200m의 수직해상도 측정범위를 밝힌 자료는 매우 중요한 기술정보이다.
○ 2015년 말에 도입될 기상청의 기상항공기는 그 도입 목적이 구름 물리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기상항공기의 활용에 본 연구의 결과가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 저자
- Thumree Sarkar, Saurabh Das, Animesh Maitr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60()
- 잡지명
- Atmospheric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27
- 분석자
- 오*남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