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빈곤: 개관
- 전문가 제언
-
○ IEA에 따르면 에너지의 현대 자원에 일반적 접근으로 약 $9,790억의 총 투자를 2030년까지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2010년에서 2030년까지 $300억에서 $350억 사이의 평균 년 간 투자가 예상되고 있다. 2010년 실제 세계적 투자는 $90억이었다.
○ 일반적으로 빈국에는 대체 에너지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반면 부국은 가용한 각종 에너지 자원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빈국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 일차 에너지 자원은 목재의 경향이 있다.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 및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우에 단지 선택은 나무 또는 숯을 태우는 것뿐이다. 기타, 케냐 및 남아프리카에서는 가스 및 전기가 광범위하게 가용하다.
○ 많은 실내 오염, 장기간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십 년 동안 의학적으로 연구되어왔다. 미세입자들이 각종 호흡기 및 심장혈관계질병 및 폐암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WHO는, 실내공기오염이 5세 이하의 어린이들에게 폐렴 및 기타 호흡기 계통 급성 감염의 위험을 배가시킨다고 판단하고 있다. 여성들에게 만성기관지염, 폐기종과 같은 폐쇄성폐질환은 3배, 폐암에는 2배의 질병 고통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 에너지 소비는 필요하지만 개발을 위하여 에너지가 충분하지는 않다. 더욱이 개발의 특정 수준으로부터 이행된 정책은 웰-빙의 표준이, 에너지 소비증가 없이, 증가 또는 유지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이다. 어떤 사건에서 에너지 소비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가장 분명한 방법은 에너지 빈곤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는 에너지를 97% 이상 수입하는 에너지 빈국이지만 효율적인 국가 정책 운영으로 전기의 사용이나 에너지 사용에 불편함이 없는 국가이다. 저렴한 요금으로 저소득자에게 까지 전기를 공급함으로 전 국민이 전기를 이용하고 있다.
- 저자
- Mikel Gonzalez-Egui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7()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77~385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