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Ni도금 후의 신선가공 조건이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도금 후에 신선가공을 하는 경우 핀홀이 폐쇄되어 내식성의 향상이 기대된다. 그러나 가공도의 증가에 따라 평균적인 도금층 두께가 감소되어 내식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Ni도금-모재계면에 요철이 생겨 국부적으로 도금두께가 작아지는 부분이 생겨 내식성이 저하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념하여야 한다.

 

도금 후 신선의 단면감소율 0%에서 도금두께가 10를 초과한 경우 발청면적률이 현저히 감소하여 내식성이 급격히 향상되고 있다. 이것은 도금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핀홀의 수가 대폭 감소하였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즉 도금두께를 15이상으로 함으로써 핀홀의 영향을 줄이기 때문에 내식성이 향상되었다고 사료된다.

 

최근 10년간(20042013) 표면기술 분야에서 미국특허청에 등록된 한국의 특허수는 461건으로 세계점유율은 4.6% 수준이고 특허의 질적 수준을 측정하는 영향력지수()는 미국이 1.33으로 평균보다 높으며, 한국은 0.76으로 평균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 양·질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지표인 기술력지수(TS=특허지수×영향력지수)를 보면 미국이 623.4로 가장 높고 일본은 229.7, 한국은 37.0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지표로 보아 표면기술 분야에 더욱더 연구력을 향상시키는 제도와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다고 사료된다.

 

저자
Tadakuni HOR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651)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17~321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