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열섬효과 저감
- 전문가 제언
-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폭염과 한파와 같은 극단적인 기후현상, 자연재해, 대기오염, 매개체를 통한 전염병, 열스트레스 등을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위험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들 위험요인들은 호흡기질환, 심?혈관질환, 피부암, 설사질환, 전염병 등의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사망에 이르게 하기 도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WHO, 2009).
○ 도시의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사회적 기능의 집중화로 인한 인구와 에너지 소비의 지속적인 증가는 기온 상승, 대기오염 물질의 증가 그리고 상대습도의 감소 등으로 도심의 하늘을 뜨거운 공기가 뚜껑처럼 덮고 있어 공기가 정체되므로 국지적인 기후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도심기후의 변화는 도시 주변부의 농촌지역과 뚜렷한 온도 차이(2∼5℃)를 보이는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현상으로 설명된다.
○ 최근 기상청 산하 국립기상연구소의 조사결과(2012)에 의하면 1901년 이후부터 최근 100년간 발생한 기상재해 중에서 폭염이 가장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다고 한다. 1994년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3,384명으로 2위인 1926년 태풍피해 1,104명의 약 3배가 넘는 수치이다. 도시열섬에 관한 종래의 연구는 지상의 기상관측 자료를 토대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원격탐사기법의 활용가능성이 입증되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도시화와 고도의 토지이용으로 인한 열섬현상의 발생은 사망률 증가와 여름철 냉방비 급증과 같은 사회?경제적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도시구성요소(공원, 녹지, 토지이용, 용적률 등)와 기온의 관계를 파악하고,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공원, 녹지의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 열섬현상이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2차적인 악순환을 일으키므로 열섬현상을 하나의 열 오염원으로 다루어 적극적인 대응을 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Sarah-Maude Guindon, N. Nirupam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77()
- 잡지명
- Natural Hazar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23~831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