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 사회의 정보기술 응용과 과제

전문가 제언

스마트 커뮤니티(또는 스마트 시티)는 사람과 기업이 지역사회(community)의 가치나 기능을 향상해 가는 것이다. 이것은 지역과 도시 인프라인 사회적 물리 인프라(전기, 병원, 금융 등)와 디지털 인프라(통신 등)가 융합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인프라에 의하여 구축된다. 따라서 스마트 커뮤니티에서는 물리적 인프라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데이터 인프라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 인프라에 의한 스마트 커뮤니티 구축사례를 소개한다.

 

전기나 에너지 등 물리 인프라로 시작된 스마트 커뮤니티에서 이미 물리 인프라가 데이터 인프라로 유지되고 있다. 데이터가 스마트 커뮤니티의 인프라가 되면 당연히 보안안전한 보관기술이 과제가 된다. 스마트 커뮤니티는 전기, 주택, 의료기기 등이 통신기기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 프로젝트는 방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인프라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로드맵 작성이 중요하다.

 

미국 연방정부의 스마트 시티 정책은 스마트 그리드와 의료 정보화에 집중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 약 300억 불을 투자하고 있다. 일본은 에너지 안보와 재난 복구형이고 추진 중인 계획은 대부분 2015년까지 시범 도시를 대상으로 실증 실험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스마트 시티의 특징은 신도시 개발과 신성장동력 육성형으로 비교적 이른 2003년부터 태동하였다. 그러나 정부·지자체의 재정적 지원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공공 중심의 스마트 시티 추진으로 한계를 맞이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정책은 다음과 같다. 정부/지자체의 재정 지원에만 의존하는 공공 중심의 투자에서 민간 투자로 전환하고, 발생한 수익이 다시 새로운 프로젝트에 재투자되도록 스마트 커뮤니티의 선순환 구조 및 개방형 협력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 또한 도시의 편리성 추구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향상하는 개념으로 진화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스마트 커뮤니티 성공사례를 개발하여 대기업을 필두로 해외시장 공략에 나서야 한다.

 

저자
Okamura Hisakaz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98(2)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99~104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