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트리코테센류 독소 생산 제어 메커니즘의 규명과 오염 저감화를 위한 기반 연구

전문가 제언

트리코테센류 곰팡이독소는 곡류에 존재하는 대표적 곰팡이독소로 A형과 B형으로 구분되며, A형은 T-2독소, HT-2독소, B형은 데옥시니발레놀 및 아세틸화데옥시니발레놀 등이 있으며 식품에 오염시켜 면역기능 억제, 설사, 발열 및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보고서는 트리코테센류 곰팡이독소를 유도하는 조건에서 균체에 처리하여 트리코테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방법과 생합성 효소의 저해제를 탐색하여, 유용한 화합물에 관한 활성 평가와 작용기작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에 의하면 2012년 국내 유통 중인 곡류·곡류 가공품 458개 제품에 대해 곰팡이독소의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T-2독소·HT-2독소의 오염도가 0.893.09μg/kg(평균 1.77)으로 나타났으며, 데옥시니발레놀·아세틸화데옥시니발레놀의 오염도는 0.000.07μg/kg(평균 0.01μg/kg)이었다. 이는 모두 15200ug/kgEU 및 국내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이들 곡류 섭취를 통한 인체 노출량은 건강상 위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곡물성 식량 및 사료의 질적 저하는 결국 식품 안전성의 문제에 직결된다. 일반적으로 전 세계에서 곡물성 곰팡이독소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이 Fusarium 속 생성 곰팡이독소이다. 그중에서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등을 포함한 트리코테센류 독소가 빈발하게 검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품 중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트리코테센류 곰팡이독소는 데옥시니발레놀 한 종류만 규정되어 있는 바, 니발레놀, T-2독소 등 다른 종류에 대하여도 광범위한 실태조사를 하고 위해평가 등을 통하여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엄격한 위해관리를 하여야 한다고 본다.

 

저자
Kazuyuki MAED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4(1)
잡지명
マイコトキシン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9~74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