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국 미국 인도의 해상풍력 에너지 현황 및 발전 전망

전문가 제언

독일은 총 전기 생산량 중 재생가능 에너지의 생산 비중을 2020년까지 20%로 확대한고, 중국은 2020년까지 재생가능 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2012년의 6배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2013년 세계 풍력발전 설치용량은 318GW 이고, 상반기에 1080MW를 설치하여 풍력에너지가 가장 성숙된 신재생 에너지기술로 인식되면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본문에 해상풍력단지를 위한 정책적 구조와 전력망 접속관점, 또 운전 정비와 비용 감소 전략에 대해 기술하였다. 특히 영국, 미국 및 인도 3개국의 해상 풍력발전에 관해 정부의 정책 및 재정적 환경 조성, 발전단가와 기술적 그리드패리티(grid parity), 실현 가능한 운전정비, 비용감축 등 4가지 관점에서 역할과 기여도에 대해 설명하였다.

 

영국은 해상풍력 에너지의 전개와 희망으로 세계를 선도하고, 미국은 해상풍력 산업의 개발단계에 진입하고 있고, 인도는 해상풍력 에너지 시장에 뚜렷한 발자국을 남기고 있다. 즉 영국의 성공사례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의 해상풍력 산업이 성장하고 인도는 성공적인 해상풍력 산업의 전략과 방향을 수립하고 있다.

 

해상풍력 투자비는 평균 3,000유로/kW정도인데 향후 기술발전, 대형화 및 정책지원 확대로 2020년에는 1,500유로/kW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해상풍력 에너지 산업의 제조, 건설 및 서비스의 센터로 성장하는 지역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고, 다른 지역으로 선도 기술을 수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서해에 2.5GW의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므로, 인프라 설비투자를 확대하고, 국가와 지자체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선도하고, 해상풍력 시범프로젝트와 제조, 기술 및 건설의 집중 허브를 육성하고, 향후 산업, 정책 및 관리 분야의 리스크를 줄이고 비용 감축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저자
Sandhya Kota ,Stephen B. Bayne ,Sandeep Nimmagad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85~694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