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의류 디자인의 원동력으로서 환경마크

전문가 제언

최근 10년간에 섬유산업은 사회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마크는 일부 섬유회사가 소비자들을 환경적으로 책임을 지는 생산품에 관심을 이끌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국제표준화기구)는 환경마크를 세 가지 형태로 나누고 있다. Type I은 제3자 보증 환경마크이고, Type II는 자진 환경요구 선언 환경마크이며, Type III은 환경적 생산을 선언한 환경마크이다. 여러 환경마크는 생산품의 수명주기 동안 비교적 낮은 환경 영향을 주는 생산품과 서비스를 식별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스웨덴 시장과 디자인 업무를 가진 스웨덴 직물회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정보는 문헌으로부터 수집 정리하고 환경마크와 의류 디자인처리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스웨덴 내 세 의류회사에서 4명의 전문요원과 반구조적 대담으로 최신 정보를 얻었다. 환경마크 기준과 세 회사의 경험적 결과를 기준으로 디자인어들은 다만 기존 환경마크계획에 의해 제한적 범위에서 지원받고 있었다. 그러므로 환경마크는 생산품 기능과 생명주기환경성능, 현 기준에서 상향 그리고 사회적 고려사항에 관한 기준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의복 디자인어의 현 업무는 판매 중 상품에서 나타는 것에서 창조할 것이 아니라, 리더십 그리고 생산품 개발처리를 통한 기업 및 생산품 지속성 목적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업무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물세탁이 가능한 유아용품 및 피부 지속접촉품과 외의류를 대상으로 환경마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피부손상을 막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앞으로 의류 환경마크를 지구환경에 부합하는 지속가능 디자인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저자
Gunilla Clancy,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99()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45~353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