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당뇨병은 인지장애를 초래하는 뇌 변화를 일으킨다

전문가 제언

당뇨병과 우울증은 서로 연관이 있다. 우울증 발생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도파민, 세로토닌 작용 계를 인슐린이 조절한다. 뇌신경에서 인슐린 저항이 있으면 인슐린의 도파민 작용 신경(neuron)흥분반응이 약화 되 우울증과 인지장애가 동반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뇌에 과다한 인슐린이 지방분해를 억제하고 지방축적을 높이기 때문에 목뒤, 머리 뒤에 지방이 많이 축적 되고 인지능력, 기억력을 감소시켜 뇌기능장애가 많다. 우리나라에서 이에 기초한 우울증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기본적인 뇌 위축과 즉흥적 기억력쇠퇴는 연관이 있다. 2형 당뇨병과 인지장애간의 관계를 뇌 부피가 매개하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회색 질 부피는 집행기능과 기억력과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밝혔다. 더 나아가 뇌 부피가 작을수록 인슐린 저항이 커지고, 당뇨병 병력 기간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당뇨병 관련 위험요소들에 오래 노출될수록 뇌에 해롭다.

 

1형 당뇨병 : fMRI로 1형 당뇨병 환자들의 기능적인 연결 상태를 관찰했다. 미세혈관장애를 가진 환자의 복부 정보회로에서 기능적 연결이 감소함을 밝혔다. 따라서 1형 당뇨병환자들은 신경성 연결(연락)이 바뀌어서 기능적 연결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2형 당뇨병 : 결함 있는 회로 연결의 장애는 알츠하이머 병리가 없는 나이든 사람들에서 나타나는 기억력, 집행능력, 진행속도들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 휴식 상태 시 뇌 활동의 비정상과 중심후회(回 : 중심구와 중심후구 사이에 있는 전두엽에 있는 회)(Postcentral gyrus)와 후두(occipital, artex)에서 뇌 활동이 감소하고 기억능력과 집행능력을 약화하는데 관여하고 있다.

 

MRI상에 나타난 SVD손상의 발생요인은 다양하다. Lacune은 주로 관통하는 동맥이 막히거나 색전으로 막힘으로서 발생한다. 백질고강도(White Matter Hyperintensity)는 백질구조의 약간 풀어진 상태부터 미엘린(Myelin)과 측색돌기(axonal)의 소실에 이르는 조직이상을 반영한다. 발병요인은 국소빈혈, 과소관류, 염증, 퇴행, 아밀로이드 혈관 병(Amyloid Angiopathy) 등이다.

저자
Geert Jan Biessels and Yael D. Reijm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Diabe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244~2252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