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한 차세대 임베디드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기업이나 개인이 IT 자원을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IT 자원 운영비 절감, 유지보수비 감소 및 S/W 개발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인 경우에 기존에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 임베디드 시스템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또는 추가로 기계적 또는 다른 부분을 추가하여 전용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다시 말해 시스템이나 전자 장치에 컴퓨터가 포함되어 어떤 전용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자동차의 ABS(Antilock Braking System, 미끄럼방지시스템) 경우처럼 더 큰 시스템 또는 제품의 부분이 된다.
○ 임베디드 시스템은 센서 입력과 제어출력을 처리하는 제어기(controller),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 메모리(storage),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통신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용예를 들면 최소 기능(제어기 및 통신)만 유지하고 다른 주요기능(제어기/데이터처리/메모리)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버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IT 자원을 자체 확장 없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 국내에서도 클라우드를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도 핵심 임베디드 SW(소프트웨어) 기술은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임베디드 SW 국내시장 규모는 2012년에 약 17조 원으로 향후 5년간 매년 9.1%씩 성장하여 2017년에는 27조 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임베디드 SW 기업은 약 190개사로 추정되며, 주요기업으로는 현대 모비스, 만도, 캐피코, 부산테크만, MDS테크(항공) 등이다. 국내 임베디드 SW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약 50% 수준으로 낮은 편이다. 앞으로 클라우드 결합 임베디드 시스템이 세계적인 추세로 볼 때 이 부분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노력이 요구된다.
- 저자
- Tetsuo Furuich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35()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605~1614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