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20/HTPB 주조형 복합화약의 유변특성
- 전문가 제언
-
○ CL-20은 니트로그룹 여섯 개를 포함하는 고리화합물로서 IUPAC 명명법은 2,4,6,8,10,12-Hexanitro-2,4,6,8,10,12-hexaazaisowurtzitane이고 간단히 HNIW 또는 이 물질을 최초로 합성한 미국 China Lake 소재 해군연구소에서 붙인 CL-20으로 더 널리 불리는 새로운 고폭화약이다.
○ RDX나 HMX와 같은 화약은 TNT보다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나 열적, 기계적 감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서 이를 포탄의 탄약에 100% 충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TPB와 같은 폴리머를 결합제로 사용한 소위 PBX(Plastic Bonded Explosives)가 개발되었지만 이 경우 충전 가능한 고체결정의 함량이 90%를 넘지 못하고 따라서 그만큼 성능저하를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 CL-20을 사용해서 PBX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지만 CL-20은 RDX나 HMX보다 기계적 감도가 민감하기 때문에 CL-20을 사용해서 기존 PBX와 맞먹는 감도의 복합화약을 개발해야 하는데 이 경우 충전프로세스에 가장 중요한 인자인 유변특성에 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 이 글은 North University of China의 Hai-Xing Li 등이 CL-20을 사용한 다양한 조성의 주조형 복합화약을 제조해서 이론과 실험방법을 통해 유변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해서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vol.11, 2014, pp.237-255)지에 발표한 연구결과를 필자가 간단하게 요약한 것이다. 필자의 소견으로는 이 논문은 CL-20과 관련된 유변특성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결과로서 연구가 체계적이고도 치밀하게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 우리나라도 1980년대 초반부터 PBX에 관한 연구가 ADD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당한 기술이 방위산업체로 이전되어 다양한 무기체계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CL-20과 같은 고성능의 최신 에너지물질들은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원들이 이 요약문과 더불어 모든 데이터가 포함된 원문의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 저자
- Hai-Xing LI, Jing-Yu WANG and Chong-Wei 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11(2)
- 잡지명
-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37~255
- 분석자
- 이*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