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 백신 개발에 있어 도전과 대응

전문가 제언

이상적인 백신은 장기간 효능을 지속하고,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발하며, 다수의 변이 균주에 대하여 교차 보호를 제공하고, 원치 않는 비특이적 효과를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최근까지도 가장 유망한 전통적인 백신의 설계는 조심스러운 항원 선정과 함께 혁신적인 면역보조제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항원 정제는 백신의 안전성을 개선하지만 면역원성의 약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천적 및 적응성 면역시스템의 상호작용과 항원제시 세포의 역할에 관한 증가된 지식을 토대로 생벡터 백신, DNA 백신 및 새로운 면역보조제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였다.

 

미국, 유럽연합과 같이 백신 관련 첨단기술을 보유한 국가들은 항원의 선정과 면역보조제의 사용에 더하여 HIV, 결핵, 말라리아, C형 간염과 같이 효율적 백신이 없는 질병에 대해 유효한 백신을 설계하기 위해 역백신학, 시스템 백신학은 물론 백신 후보의 효능과 안전성을 예측할 수 있는 biosignature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최근 10년간 본격화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임상 파이프라인에 있는 백신 후보에는 2014년 현재 HIV 39, 결핵 17, 말라리아 25종이 있다.

 

국내의 백신 관련 연구개발 활동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과 업체의 노력으로 근래에 들어 활발하다. 특히 AIDS, B형 간염, 결핵 등 분야에서는 DNA 백신과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 백신을 이용한 동물모델 연구에서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결과들을 얻었다. 그러나 동물실험 및 임상시험 관련 기술기반은 아직 취약하며 역백신학, 구조생물학, 시스템 생물학을 백신 설계에 적용하려는 연구는 극히 미진하다.

 

본 총설에서 저자들은 백신 설계를 촉진하기 위해 역백신학 및 구조생물학을 이용하여 새로운 항원, 면역보조제 및 벡터를 발견해야 한다고 하고 이상적인 백신 설계는 시스템 백신학을 통해 임상시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의 위험 뿐 아니라 백신 안전성과 효능을 예견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징후를 기반으로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
Stefan HE Kaufmann, M Juliana McElrath, David JM Lewis, Giuseppe Del Giudic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8()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26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