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OLED 광추출효율(optical extraction efficiency)을 높이기 위한 봉지재와 필름

전문가 제언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저발열, 초박형 디자인 구현이 가능해서, 조명뿐 아니라, 투명하고,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추구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OLED 기반의 투명하고 유연한 소자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봉지기술(봉지방법, 봉지재료) 및 광 추출 효율 증가를 위한 봉지용 재료가 OLED의 상업화를 결정지을 것이다.

 

OLED 소자는 유기물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공기 중 수분과 산소의 존재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습기의 영향으로 발광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완벽하게 봉지(encapsulation)을 해야 한다. OLED의 일부에서 수분이 흡수되면, 그 부위가 상대적으로 어둡게 되는 “dark spot"현상이 나타나 불량이 일어나므로, 일반적인 봉지 재료를 사용하지 못할 뿐 아니라 기밀봉지하고 용기 내에 건조제를 넣어 습기를 막아주고 있다.

 

OLED 실용화를 위한 수지봉지 방법에서, 봉지 재료의 흡습 대책이 실용단계에 들어가게 되면, 이에 더해 봉지 기술, 발광 기구의 개선, 디바이스 구조 및 구동 방법 변경, 유기재료 및 이들의 광 추출 효율 향상기술이 요구되어 관련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OLED의 봉지기술에 대해서는 주성엔지니어링을 포함한 CVD 반도체 장비회사들이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앞으로 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되어 수지 봉지형 OLED가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광원 뿐만 아니라 OLED 기반의 투명하고 유연한 디바이스 소자 구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인 OLED 봉지기술의 핵심은 우수한 투습 방지 특성과 유연성을 갖는 유기계 재료 개발에 있다. 이 봉지기술은 유연한 디스플레이 구현을 결정하는 기술로, 빠른 연구 결과를 통해 이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어 일상생활에 접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Shigeru Koshib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4(8)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30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