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의 로봇관련 특허출원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일본특허청은 1999년 이후 특정기술(또는 테마)별 특허출원동향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시장환경, 정책동향, R&D동향정보와 일본의 기술경쟁력, 산업경쟁력을 분석하고 경쟁우위 확대를 위한 과제를 정리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제언하는 보고서를 작성 발표한다. 이 자료는 “로봇”에 관한 내용으로 2001년, 2006년에 이어 특허출원 기술동향을 분석했다.
○ 세계적으로 “로봇”에 관한 특허출원 건수는 2007년 약 4,500건에서 2009년 약 5,500건으로 증가하였다. 출원인 국적별로는 일본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전체의 33%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중국국적 출원인과 유럽국적 출원인이 각각 19%를 점하고 있다. 일본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는 2007년부터 횡보추이인데 비해 중국과 한국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는 매년 증가추세임이 나타나고 있다.
○ KISTI 데이터베이스 NDSL 검색결과 국별 로봇관련 특허건수는 80,008건, 이 중에서 일본이 35,586건, 미국 19,754건, 한국 8,592건, 국제 8,121건, 유럽 7,755건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로봇관련 특허출원에서 세계 강국임을 보여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로봇관련 특허동향은 출원의 주류가 이미 산업용 로봇에서 서비스 로봇으로 이동해 있다. NDSL 분석결과 국내 서비스 로봇에 관한 R&D는 전자통신(연), KAIST, KIST,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과학기술대, 부산대, 충남대, 광운대, 경희대, 한양대, 아주대, 산업기술대 등 전국의 많은 대학, 연구기관에서 수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의료용 로봇은 공통적으로 주요국의 특허출원이 두드러진 분야이며, 2000년대 이후 국내기관들의 활동은 매우 활발하다. 특히 (주)퓨처로봇, (주)라스테크, (주)로보테크, (주)엠텍, (주)유진로봇 등 전문중소/중견기업들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수술지원 로봇 등 의료용 로봇장치 특허출원에 현대중공업, 삼성전자, 아산사회복지재단, 우리들의료재단, 국립암센터 등이 참여하고 있다. 향후 실용화 도전과 산업발전이 기대된다.
- 저자
- SUZUKI Takafum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2014(221)
- 잡지명
- ロボッ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1~45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