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습지를 이용한 경작지 배수 및 방출수의 농약 제거
- 전문가 제언
-
○ 농약은 농작물 및 화초 등에 해로운 병해충을 없애거나 농작물을 생장시키고 발육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서제, 살비제, 살선충제 등이 있다. 농약 사용으로 농작물의 생산성이 증가하고, 경작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나 반면에 여러 가지 악 영향도 나타나고 있는데, 농약에 의한 중독, 환경오염, 자연계의 평형파괴,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발생 등이며, 결국에는 인체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다.
○ 인공습지는 식물군락과 이들과 결합되어 있는 미생물을 인공적으로 조성한 습지로 물이 수중식물 군락을 통과하는 동안 세균, 유기물질, 화학물질 등을 제거해 환경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습지가 갖는 자연 친화적 정화시스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설치되는 인공습지는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보호하는 생물다양성의 가치뿐만 아니라 수질정화, 농업용 용수공급 등의 기능을 하고 있는데 여러 가지 형태 및 규모의 인공습지가 설치되고 활용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수질환경보전법 및 시행규칙 등을 제정하여 하천 및 저수지의 수질을 관리하고 있는데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질관리는 4대강 환경대책 이행의 일환으로 4대강에 인공습지를 136개소 설치하여 생물 서식처로 제공함으로 비점오염 저감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수질환경보전을 위해 시행하는 보 중심의 예방적 수질관리 및 물 관리 체계구축도 완충 저류지 및 자연적 여과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점오염원 보다는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조치를 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농약관리법”, “폐기물관리법”,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법”, “수질환경보존법” 등을 통해 농약을 관리하고 있으며, 환경 중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하수, 폐수,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확충 및 하·폐수 처리장의 시설 보강을 통해 수질에 대한 종합적 관리·보전을 실시하고 있고, 폐수 및 먹는 물에 따라 수질기준과 감시항목을 별도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관련부서 간의 협력과 공조를 통해 그 효과를 높을 수 있다.
- 저자
- Jan Vymazal, Tereza Brezinov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75()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20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