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속원자힘 현미경을 위한 초단소(ultra -short) 캔틸레버의 유효 스프링상수 교정

전문가 제언

원자힘현미경(AFM)은 나노스케일로 재료의 표면영상을 구현하고 기계적 물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등 연구개발 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한때 첨단기기 대접을 받던 AFM가격이 내려가고 활용성이 넓어지면서 이제는 범용기기처럼 사용되고 있다. 이는 AFM기술의 지속적인 발달로 신뢰성과 이용성이 크게 향상된 때문이다.

 

다른 모든 측정기기와 마찬가지로 AFM에서도 사용전 힘 교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AFM 캔틸레버의 스프링상수와 광학계의 감도측정이 필요하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열잡음방법이나 기준빔방법 등은 전통적 직사각형 캔틸레버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차세대 고속 AFM에 사용되는 사다리꼴 초-단소 캔틸레버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EMC 밸런스를 이용해서 nN분해능으로 캔틸레버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스프링상수를 도출하는 것은 비록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참신하고 실용적이다.

 

국내에서 AFM 관련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들 수 있다. 연구소의 박병천박사는 국내 최고 AFM전문가로서, 기존 AFM의 성능개선과 새로운 개념의 AFM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AFM의 성능정보와 제조 know-how는 거의 선진국 기업들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연구팀의 노력은 틈새기술을 대상으로 제한된 범위에 머물 수밖에 없다.

 

초기에 AFM은 주로 물리나 재료분야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생명공 학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크게 늘면서 근래에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 분야에 대한 AFM의 사용이 크게 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적용사례가 생체조직 표면의 강성과 Young률 등 각종 기계적 특성 규명이다. 한 예로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연구팀은 AFM을 사용하여 암세포 표면의 효소반응을 관찰함으로서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암의 조기진단과 맞춤형 치료의 길을 개척하고 있다.

 

저자
Yun-Peng So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5
권(호)
26()
잡지명
Measurement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06500101~06500111
분석자
은*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