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러시아의 재생에너지: 고형 바이오에너지의 발진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와 에너지안보에 대한 논의에서 촉발되어, 재생에너지원은 현재 여러 나라에서 뜨거운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 세계의 재생에너지 개발 영향에서 벗어나 있다. 최근까지 방대한 양의 재생에너지원이 거의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즉 지구 기후변화협약에 대해 러시아가 약속한 2030년까지의 신에너지정책과 나무펠릿 생산증가는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러시아 서북지역 고체 바이오에너지 부문의 진척상황을 조사하고 설명하였다. 러시아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고 국내시장이 잘 형성되지 못하여 국내 고체 바이오에너지 부문의 개발은 요원하다. 그래서 러시아 서북부의 나무펠릿 개발은 지역에 국한되고 연방정부 정책으로까지는 채택되지 못하였으며 지역수요에 맞추어 개발되고 있으나 외국투자가의 참가가 상당 수준이다. 나무펠릿에 대한 EU 수요와 외국계 회사와의 협력이 바이오에너지 연구, 기술 및 무역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가 화석연료에의 집착으로부터 해방되려면 장구한 시일이 걸릴 것이다.

 

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0141한국의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량 및 지도(Map)연구보고(14-01)를 발간하였다. 2010년 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자원(이론적 바이오매스)804백만 톤이었으며, 이를 에너지 양으로 전환한 석유 환산량은 362백만toe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가채자원 잠재량은 25백만 톤/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적 바이오매스 가채자원 잠재량은 14백만 톤/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연구에서 산정한 기술적 잠재량은 바이오매스 자원 잠재량에서 뿌리와 잎 등을 제외한 값이기 때문에 다소 적게 추정된 값이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이렇게 잘 가꾸어진 산림을 우리의 에너지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각을 바꾸어야 할 때라고 생각하며, 이 보고서가 국가적인 정책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탄소중립, 탄소상쇄 사업 등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Alexey O. Pristupa, Arthur P.J. Mo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50()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15~324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