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수(Coriandrum sativum L.)의 기능성과 보건작용

전문가 제언

고수(Coriandrum sativum L.)는 미나리과(Apiaceae)의 식물로 일명 향채, 빈대풀, 중국 파슬리라고 불리며 중국과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고 주로 열매와 잎이 향신료, 잎채소나 약재로 사용된다. 요리에 따라 그 줄기나 뿌리도 사용될 수 있다. 우리에게 그다지 친숙하지 않은 식재료였으나 최근 민족음식(ethnic foods)의 유행과 함께 섭취하는 기회가 늘고 있다.

 

다양한 유익한 성분을 함유한 고수는 향신료나 향채로 식품재료뿐만 아니라 인도의 전승의학인 아유루베다(Ayuruveda)에서 오래전부터 민간전승 약으로 사용되었고 고수의 효능으로 소화촉진, 항당뇨, 지질 흡수억제, 항류마치스관절염, 항염증작용, 항불안, 항불면작용 등이 기대된다.

 

고수의 보건효과는 종자 또는 잎, 줄기에서 추출한 정유는 진정제, 살균제, 항류마티스와 항산화효과가 있고 체내에서 췌장의 기능을 도와 인슐린포도당의 농도를 낮추고, 위를 진정하여 식욕을 돋우며, 체내의 지질분해 뿐만 아니라 구충제, 항염증제, 최음제로도 작용한다고 알려 졌다. 종자는 한방에서 건위제, 구충, 거담제로 사용되고 유럽에서는 소스제조용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다.

 

고수의 유해성으로 dry sausage의 저장 중에 향기를 악변시키고 고수를 취급하는 사람에게 과민성 증상으로 두드러기, 기관지천식, 피부염, 구강, 코 인후강 등의 급성증상이 알려지고 있다. 향신료로의 사용량은 그만큼 많지 않기 때문에 식품첨가물로 현재 사용량은 충분히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의 고수에 대한 최근 연구는 없고 농촌진흥청 발간 우리산야자원식물도감(2007)”이나 식품의약품안전청 발간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및 성분의 DB구축(2003)”에 고수에 관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고 또 고수의 약효에 관한 특허가 일부 있을 뿐이다. 고수를 대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분야에서 많은 연구 노력이 기대된다.

 

저자
YOSHINO Kyoj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6(10)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4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