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사공급망의 환경분석
- 전문가 제언
-
○ 환경분석은 어느 특정지역의 현재 환경을 분석하고 인간의 제반활동에 기인하는 환경변화를 예측한다. 많은 기업들은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강조되는 공급사슬에 참여하여 기업간 협력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면사공급사슬의 환경분석”의 주제하에 면사공급사슬과 연관된 환경영향을 평가함을 목적으로 하고 전과정평가(LCA;Life Cycle Assesment)기법을 이용하여 면사제조자의 환경성과를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집트, 중국, 인도와 미국의 4개 회사에 있어서 생산성은 각 국가와 연관된 환경영향의 값에 영향을 미치고 최고의 온실효과는 인도의 회사에 의해 생성되며, 면사생산단계에서 야기되는 환경영향과 관련해 면사생산의 가장 심각한 환경영향은 염색(1.24 CO2 kg-eq.)와 방적(0.64 CO2 kg-eq.)단계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그것들은 반응성시약, 색소와 전기 및 열에너지와 연관된다고 제시된다.
○ 면사공급사슬은 공급자, 생산제조자, 유통판매업자, 고객의 상호 유기적인 연결에 의한 협력관계로서 제품공급사슬은 산업구조변혁은 물론이거니와 기업의 경영혁명추진을 위한 핵심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오늘날 전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인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 및 제품공급사슬 체계의 확립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기업들은 환경문제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품공급사슬관리와 공급사슬 전문가의 양성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 기업들은 제품공급사슬에 참여하여 기업간 협력활동을 수행한다. 국내기업들은 그간 공급사슬에서 기업내 물류, 생산제조 등 프로세스의 통합에 집중해 왔는데, 이제는 제품공급사슬 경영의 초점을 외부파트너와의 통합으로 전환하고 주요 판매시장을 중심으로 공급사슬의 세계화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국내섬유산업의 경우 제품생산제조 산업폐기물로 인해 많은 환경오염이 발생하여 환경기술혁신에 기여하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섬유공급사슬의 효율적인 구축과 그 적용의 개발이 필요하고 그러한 섬유공급사슬 지향성이 촉진되어야 한다.
- 저자
- Maurizio Bevilacqu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82()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54~165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