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완화를 위한 말레이시아의 건축자재조합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 완화를 위한 말레이시아의 주택건축자재 조합에 대한 연구는 CO2배출을 억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CO2배출을 감소시키는 원리를 설명했다. 이 연구의 목표는 건설부문에서 발생하는 CO2를 제거함으로써 자국의 기후변화수행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참신한 건설자재조합을 제안하였다.
○ 건물을 건축하는 것은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특히나 건물들이 많은 양의 CO2를 배출한다. 건축으로 인한 기후변화를 완화하거나 건축과정을 개선하면 광범위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혜택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혜택들을 얻기 위해서는 적합한 전략이나 기술을 현명하게 선택하고 현지에 맞는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건물을 건축하는 것은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특히나 건물들이 많은 양의 CO2를 배출한다. 건축으로 인한 기후변화를 완화하거나 건축과정을 개선하면 광범위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혜택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혜택들을 얻기 위해서는 적합한 전략이나 기술을 현명하게 선택하고 현지에 맞는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목조주택은 기둥과 들보, 서까래 등을 목조로 한 주택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합판, 합성수지, 타일, 석고보드 등을 사용하여 축조한 주택이다. 한국에서 요즘 전원주택용으로 많이 짓는 경량 목구조 주택이 이런 형식의 주택이다. 목재의 세포구조 내의 공기주머니가 열이나 추위를 막아주는 천연방어막 역할을 하여 열전도성 측면에서 최상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들이 늘면서 환경친화적인 목조주택의 인기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14년 국내 목조주택은 11,000여 채로 10년 새 5배 넘게 괄목할 정도로 증가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목재의 단열 특성을 활용해 난방비를 줄이고 환경친화적이며 건축비용도 적게 드는 목조주택 모델을 개발해서 보급하는 정책이 바람직하다.
- 저자
- Abdul Kadir Bin Marsono, Ali Tighnavard Balasbaneh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85()
- 잡지명
-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0~108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