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조류의 식물호르몬: 미세조류의 생명공학적 활용을 위한 새로운 도전기회
- 전문가 제언
-
○ 미세조류는 현재 가장 환경친화적인 바이오연료의 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비식량 식물의 경우 생물다양성의 손상 우려 때문에 유럽연합에서 비식량 식물은 바이오연료로 사용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다. 미세조류는 이러한 제한을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바이오매스 재료로서 가치는 상당히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미세조류와 관련된 수많은 연구 자료들이 발표되어 있지만 이 리뷰논문에서 제시된 주제는 이제까지 발표된 적이 없다. 이 리뷰논문에서 소개하는 주제의 요점은 식물호르몬(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에틸렌, 앱시식산)의 생합성 반응경로와 이들의 신호전달 시스템이 미세조류에서도 존재하며, 이 시스템들의 기원은 미세조류의 식물호르몬 시스템으로부터 유래되었을 것임을 추정함과 동시에 이들 시스템의 생명공학적 활용 가능성에 관한 고찰이 이 논문에 소개되어 있다.
○ 식물호르몬의 기원을 뒷받침하는 주요 근거는 현재까지 밝혀진 식물과 미세조류의 게놈유전체의 비교분석 자료를 근거로 하여 추정한 결과들이며, 특히 특정 기능의 아미노산 영역을 검토하여 특정 유전자들의 아미노산 서열을 추적함으로써 그들의 기원을 유추하였지만 확실한 결론을 위해서는 보다 더 세밀한 과학적 연구 자료가 요구되고 있다.
○ 고등식물의 식물호르몬 생합성 반응경로 및 신호전달 시스템 관련 주요 조절 유전자들은 농작물의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활용되어 왔다. 미세조류의 경우에는 이 호르몬들의 생합성 반응경로와 신호전달 시스템에 대한 자료가 아주 미미한 실정이기 때문에 현재는 활용성이 아주 낮다. 그러나 유용 미세조류의 게놈유전체에 관한 자료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머지않은 시기에 미세조류 식물호르몬에 관한 생명공학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지만 저비용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미세조류 생명공학기술의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에게는 이 리뷰논문이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Yandu Lu, Jian X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0(5)
- 잡지명
- Trends in Pla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73~282
- 분석자
- 정*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