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InSAR을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과 조기경보
- 전문가 제언
-
○ 최근 지진, 산사태, 화산폭발, 쓰나미, 홍수 등과 같은 지질재해들로 인하여 많은 재산과 인명손실이 초래되고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초대형 지질재해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높은 충격에 의한 것이다. 최근 발생하는 지질재해들은 범지구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지질재해에 의하여 사회/경제적으로 심각한 손실이 초래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싱크홀은 지표가 붕괴되어 함몰하는 현상으로 대부분은 탄산염암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카르스트지형이 진행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명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전조현상 없이 비극적인 참사로 이어 질 수 있다. 이 글은 싱크홀 모니터링과 관련된 조기경보를 주요한 연구주제로 여겨 싱크홀 모니터링과 GB-InSAR 조기경보 경험을 기술했다.
○ 변위도를 작성할 수 있는 정밀도가 높은 계측기인 GB-InSAR는 2008년 이후에 9개의 싱크홀이 유발된 석회암지역인 이태리 Elba섬에서 수행되었다. 1년간의 모니터링을 한 결과 변형된 2개 지역이 검지됐으며 하나는 싱크홀로 보여준 구멍보다 컸다. 이는 공동이 충진된 이후에도 장기간 지속된 침하현상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 하나는 계측기 검지의 낮은 한계를 보여준 1.5m 크기의 싱크홀이 발생됐다.
○ 국내는 도심지의 위험 감소를 위해 전자통신연구원(ETRI)을 비롯해 건설기술연구원(KICT), 지질자원연구원(KIGAM) 및 철도기술연구원(KRA) 등의 기관이 모여서 도심 지하공간에서 발생되는 위험상황 판단을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 기반 지하공간 그리드시스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지하수 과다사용과 수도관 누수로 인해 지하수수위 하강으로 지하 지질환경 변화가 싱크홀을 발생할 수 있지만 과거 자원개발 및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될지 모르는 현상들을 고려할 때 인공위성 기술을 이용한 방법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Emanuele Intrier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241()
- 잡지명
- Geomorp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04~314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