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성능 터치디스플레이의 개발

전문가 제언

최근 빅데이터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기업의 경우에도 성장전략 등을 수립하는 데 빅데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관리는 기존의 종이 매체에서 전자 매체로 급속하게 이전되고 있지만,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기존 인터페이스는 종이매체로부터 대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이에 쓰는 것 같은 감각으로 조작이 가능한 터치패널이나 디지타이저 펜의 특성을 살려 정보의 전자화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입력디스플레이의 하나로서, 터치디스플레이/펜라이팅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고 받아들이는 터치센서, 이것을 전기적으로 변환하는 컨트롤러 및 이것을 디스플레이 및 다른 전자부품과 해석해서 특정 동작을 지시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된다. 구현방식은 저항막, 정전용량, 적외선 및 초음파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초기에는 소형 터치스크린용 저항막 방식이 주류였으나, 현재는 멀티터치 구현이 쉬운 정전용량방식이 많이 사용되어 최근에는 동작 인식, 촉각센서 등 넓은 의미의 터치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디스플레이 및 모바일 강국으로 터치패널이 응용된 제품을 이미 다량 수출하고 있지만, 관련 주요 핵심부품은 대부분 일본,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술개발 및 양산능력 확대를 위한 대규모 투자가 저조해 핵심이 되는 컨트롤 IC, ITO(Indium Tin Oxide) 필름, 강화유리와 같은 핵심소재 산업이 미비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2000년 초부터 디지텍시스템즈, 한국터치스크린, 에이터치(현 일진디스플레이) 등의 선발 터치스크린 업체가 설립되기 시작해 최근 기존 터치스크린 관련업체는 물론 휴대폰 부품관련 업체 등 다수 업체들이 동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특히 격경쟁력 확보와 시장선점을 위해서 모바일 사용환경에 적합한 얇고 가벼우며 이형 디자인이 용이하고 플렉시블 터치스크린에 대처할 ITO를 대체할 메탈메시와 AgNW(은나노와이어) 등의 신소재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Takao Yoshid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2014(106)
잡지명
シャ?プ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35~39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