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울트라커패시터 방전제어와 전기자동차의 다양성 개선을 위한 고급에너지 관리시스템

전문가 제언

EV(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의 에너지관리에 관한 사용과 개선, 이 두 가지는 지난 수년간의 이슈로 산업과 학술분야에 의해 강조되어왔다. 많은 연구가 UC(ultracapacitor: 울트라커패시터)의 특성개발과 BAT (Battery Bank: 배터리) 수명보호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BATUC로 구성된 HESS(Hybrid Energy Storage System: 혼합 에너지저장 시스템)를 장착한 EVRB(Regenerative Breaking: 회생제동)에서 가능한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UC의 적절한 방전에 기반을 둔 새로운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에너지소비는 감소하고 그 다양성은 증가하는 것을 EV는 요구하고 있다. 간단한 법칙에 따라 이 요구는 UC의 고출력밀도의 장점을 취하고 BAT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 해결할 수 있다. 8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1550kgEV에 표준드라이브 사이클을 적용하여 그 장점을 보인다.

 

제안하는 EMS는 부하 요구동력에 따르는 2개의 원천 에너지가 적절한 동력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됐다. 적당한 RB 전략을 사용함으로 복원될 수 있는 대량의 에너지평가와 EV의 운동에너지를 고려함으로 이 분배를 수행한다. 이 방법으로 BAT가 방전되는 경우 이외에는 EV는 항상 그 주행을 감소하지 않고 높은 가속을 수행하는 충분한 에너지를 갖는다. 결론적으로 제안하는 EMSRB를 통하여 EV의 운동에너지의 높은 이용을 가능케 하고 나아가 보다 향상된 에너지관리를 가능케 하여 보다 넓은 EV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내연기관과 배터리의 혼합 국산 자동하는 2014년을 시작으로 현재 10종이 출시되었고 국산 EV로는 2012년에 기아자동차가 출시한 ‘RAY’를 위시하여 현재 7종의 승용차가 국내에서 운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HESS를 장착한 국산 전기자동차는 아직은 출시되지 않고 2016년에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2010년에 세계 5대 자동차생산국으로 진입한 우리로서는 본 연구와 같은 연구와 그에 따른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고 화급하다는 데에 재론의 여지가 없다 하겠다.

 

저자
Jesus Armenta, Ciro Nunez, Nancy Visairo, Isabel Lazar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284()
잡지명
Journal of Power 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52~458
분석자
김*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