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포체에서 MHC class Ⅰ 분자와 결합하는 펩타이드 가공처리의 모니터링
- 전문가 제언
-
○ 조직이나 장기 이식 때 나타나는 거부반응은 이식된 세포 표면에 발현된 특정 분자들을 면역세포가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결과이다. 이러한 세포 표면 분자들을 총칭하여 조직적합성 항원이라 하며 장기이식 거부반응에 주로 관여하는 항원을 주조직적합성 항원이라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마우스의 H-2 항원과 인간의 HLA(human leucocyte antigen)가 있다. 주조직적합성 항원의 유전자는 염색체의 일정 부위에 집단적으로 존재하는데 이를 주조직적합성 (유전자)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라 한다.
○ 어떤 병원균이 우리 몸에 침입하면 항원 처리 장치(antigen processing machinery) 또는 항원 제시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s: APC)로 알려진 면역세포들에 의해 포식되어 펩타이드 조각으로 가공, 처리되어 MHC 분자와 결합하여 APC 표면에 제시된다. 이 과정의 분자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질병, 특히 자가면역질환 병인의 해명과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많은 종류의 질환, 특히 자가면역질환은 인간의 MHC에 해당하는 인간 백혈구 항원(human leucocyte antigen: HLA)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자가면역질환은 T-세포들이 MHC 분자에 의해 제시된 자가항원에 대해 반응할 때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질환의 병인을 연구하는 한 가지 수단은 MHC 분자에 결합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항원들을 동정하고 조사하는 방법이다.
○ 항원 가공처리경로에서 ERAAP(endoplasmic reticulum aminopeptidase associated with antigen processing)의 기능 분석은 MHC 1a 및 1b 분자에 의해 제시되는 펩타이드 종류가 자가면역질환과 암 발생에서 어떻게 생성되고 조절되는가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한다. 특히 비고전적인(non-classical) MHC 1b 분자는 비다형성(non-polymorphic)이며 모든 생물종에 잘 보존되어 있다. 따라서 pMHC 1b 의 생성과 이들이 ligands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기전을 이해하게 되면 면역 감시와 새로운 백신 생산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Nilabh Shastr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6()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3~127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