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피닝에 의한 분말 고속도공구강의 표면개질
- 전문가 제언
-
○ 본 자료는 분말 고속도공구강을 제조하기 위하여, 피처리재로서 FeCrB미립자투사재에 의한 숏피닝의 적용기술을 검토하였다. 특히 분말 고속도공구강에서의 고경도미립자투사재에 의한 숏피닝효과가 경도 및 조대탄화물 형태, 최대압축잔류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 국내외적으로 일본 Sanyo-steel(山陽特殊製鋼)은 분말 고속도공구강의 제조기술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향후 국내기업체에서도 가스아토마이징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금분말야금법, 퀜칭템피링 열처리 등에 대한 제조기술, 나아가 숏피닝에 의해 마이크로적인 소성유동이 없이 최대압축잔류응력값을 최고로 확보하고 조대탄화물을 억제시킬 수 있는 분말 고속도공구강의 제조기술에 대한 국제적인 경쟁력의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지금까지 숏피닝에 의해 얻어진 최대압축잔류응력값을 예측하기 위한 이론으로써 투사재와 피처리재의 충돌현상에 대한 입자의 운동방정식, Hertz의 탄성접촉론, Hyusin의 탄소성이론을 조합시킨 Ogawa 등이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기본이론과 연구개발을 통하여 최대압축잔류응력값을 정립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표면개질기술의 정착이 필요하다.
○ 국내 기업체에서 고경도미립자 투사재를 이용한 분말 고속도공구강의 표면개질 기술을 확립과 평가를 위해서는 숏피닝 면에 대해서 SEM관찰, 조도측정, 잔류응력측정, 표층의 단면마이크로조직 관찰에 대한 해외 선진개발기술에 의한 수집정보와 국내에서 개발된 분석자료에 대한 비교가 우선이며 향후 최적의 제조조건의 파악과 설정이 필요하다.
○ 현재 국내외에서 고인성 고강도 고내마모성을 필요로 하는 공구, 금형에 대한 범용 분말 고속도공구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피가공재의 고강도화, 형상의 복잡화, 복합소재의 성형 등에 따른 결함에 대비하여 국내관련 기업체에서의 제조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기존 고속도공구강의 품질특성을 더욱 향상시킨 새로운 분말 고속도공구강의 출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본 자료는 국내 고속도공구강의 기술력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oshiyuki SAWA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54(1)
- 잡지명
- 熱處理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27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