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 트랜스지방의 독성
- 전문가 제언
-
○ 트랜스지방산은 심혈관질환의 중요한 원인으로 확인되어왔고 뇌졸중과 심장마비 같은 임상종점을 초래한다. 비록 입법 노력이 우리 식단에서 트랜스지방을 제한했지만, 상당량이 남아있다. 고로 우리 몸에 미치는 트랜스지방의 영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또한 역설적으로, 최근 연구에서 트랜스지방 하위범주인, 반추동물 트랜스지방(rTFAs)의 중요한 심장보호역할이 확인되었다. 독성뿐만 아니라 유익한 화합물로서의 잠재력이 있는 트랜스지방의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 증진은 오늘날 심혈관질환 조절에 필수적이다.
○ 트랜스지방에 대한 국내 연구는, 각 지역과 학교 급식에서의 트랜스지방 실태 조사, 인체에 미치는 위해와 규제현황, 트랜스지방 저감 방안에 치중되어 있다. 이 외에 “트랜스지방 섭취가 마우스의 혈청 및 조직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녹차추출물의 트랜스지방 흡수 억제 작용” 등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 개별 트랜스지방 연구에는, “기능성 지방산인 c9, t11-CLA(Conjugated Linoleic Acid)의 전구체인 TVA(트랜스 박센산)의 기능 연구”, “CLA 섭취가 트랜스지방산 섭취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우유 중 CLA 전구체인 TVA에 의한 암세포주의 성장억제효과 연구”, “트랜스지방산(Elaidic acid)에 의한 고밀도지단백질의 항산화 기능 변화와 염증 유발” 등이 있다.
○ 산업적 트랜스지방과 반추동물 지방의 영향과 허혈-재관류 손상에서의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데, 특히 근육세포 수준에서이다.
- 저자
- Riya Ganguly, Grant N. Pierc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78()
- 잡지명
-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70~176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