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품위 난용성 우라늄의 침출기술
- 전문가 제언
-
○ 난용성 함우라늄 광석인 브란너라이트는 우라늄티탄염이고 UTi2O6라는 이상적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이 화학식에서 우라늄이 토륨 및 경희토류(light rare earths: 57La∼63Eu) 등으로 대체되면 브란너라이트의 화학 성분이 바뀐다. 그러므로 브란너라이트 화학식은 일반적으로(U, Ca, Y, Ce, La)(Ti, Fe)2O6로 표시된다.
○ 난용성 또는 난분해성이란 함우라늄광에 포함된 우라늄을 침출기법 또는 다른 기법들로 추출하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 예로 복합 산화우라늄(예: 다비다이트(davidite), 황록석(pyrochlore), 베타파이트(betafite) 및 브란너라이트)이 난용성광물에 속한다.
○ 저품위 난용성 우라늄광석의 침출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2012년에 서울대학교에서는 충청북도 괴산군 우라늄광에서 채집된 함우라늄광 시료에서 효율적인 우라늄 산성침출 조건을 연구하였다.
? 특히, 마이크로파 전처리 후에 분쇄한 시료에서 마이크로파 전처리 없이 분쇄한 시료에 비해 우라늄 침출율이 증가한다.
○ 2014년에 공주대학교에서는 옥천대에 분포하고 있는 우라늄 광화대에서 산출되는 저품위 우라늄에서 함우라늄광물의 종류, 우라늄산출 특성, 우라늄광상의 생성메커니즘 등을 연구하였다.
○ 향후에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저품위 난분해성(또는 난용성) 우라늄광물에서 효율적인 우라늄 추출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짧은 추출시간 특성을 갖는다고 알려진 마이크로파 가열 추출기술이 개별적으로 또는 산 침출기술과 융합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저자
- Rorie Gillig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71()
- 잡지명
- Minerals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4~48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