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이저현미경을 이용한 용접 재열균열 감수성의 정량평가

전문가 제언

조선해양기자재를 비롯하여 고장력강, Cr-Mo강 및 일부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용접후열처리 중에 재열균열(Reheat Cracking)이 발생되어 국내관련 기업체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규명과 대책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조선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데 대량 적용하고 있는 SM490강은 용접후열처리 중에 용접열영향부 조립역의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따라 균열이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입계균열을 재열균열이라고 하며 이에 대한 발생억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용접부 재열균열의 발생은 기자재의 고강도화에 따른 화학조성, 불순물 원소, 탄소당량, 청정도 등이 선택적으로 원인이 될 수 있지만, 현재 국내외 철강제조회사에서는 근본적인 방지책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현단계로서는 조선해양기자재의 재열균열의 평가와 방지를 위해서는 균열감수성에 대한 정량적 측정기술의 확립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재열균열 감수성의 정량평가를 위해서 고온인장시험기와 레이저현미경에 의한 그 현장관찰(in-situ observation)과 계측법이 제안되었는데, 이 방법은 1회의 시험편으로 균열감수성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레이저현미경에 의한 현장관찰?계측법은 시험편에 응력을 계속적으로 부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재열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강종에 있어서도 입계의 고착력을 초과하는 응력을 부하시킬 수 있으며, 입계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자료에서 제안된 방법은 광범위한 조성영역의 각종 강종에서 동일한 지표로 균열감수성을 평가할 수 있고 재열균열감수성평가의 신속화와 고정도화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향후 국내 기업체에서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수적이다.

 

레이저현미경을 이용한 현장관찰에 의한 균열감수성평가방법은 재열균열감수성 평가의 신속화와 고정도화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실제의 용접후열처리과정에서의 역학적상태의 해석(열역학, 변형, 크리프 해석 등)에 의해서 재열균열발생의 예측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향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YU Lina, SAIDA Kazuyoshi, NISHIMOTO Kazutoshi and SAKATA Yoj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32(4)
잡지명
溶接學會論文集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51~257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