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중접속 무선통신에서 캐리어 집성기술

전문가 제언

이 특허기술은 서로 다른 노드의 셀(cell)로부터 무선 액세스 캐리어를 집성(aggregation)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다중접속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는 LTE-A 네트워크 구조를 위한 기반 기술로 차세대 5G 이동통신을 위한 기반 네트워크 기술로서의 가치가 있다.

 

이 특허의 핵심인 캐리어 집성기술은 다수의 성분캐리어를 모아주는 기술로서 LTE-A 서비스의 대표적인 기술이다. 아울러 LTE 다중접속(dual connectivity) 기술은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release 12에 대한 표준화작업이 진행 중인 기술이기도 하다. 이에 LTE-A 표준을 기반으로 5G 이동통신 시스템 설계에 기반을 마련한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데이터통신에서 캐리어(반송파)는 데이터신호를 변조하는 데 이용되는 기준 주파수대를 나타낸다. 따라서 캐리어 집성(aggregation) 기술은 여러 개의 주파수대를 묶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구현할 수 있는 점이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테면 LTE 스마트폰에서는 1개의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는 데 반하여 LTE-A에서는 25개의 캐리어를 집성하여 주파수대를 형성하여 전송률을 높이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LTE 주파수 대역을 다운링크와 업링크 별로 각각 두 개씩 확보하고 있다.

 

LTE-A 캐리어 집성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킨 국내 통신사업자들은 캐리어 집성 서비스를 새로운 형태인 광대역 LTE-A라는 이름으로 20MHz+10MHz의 주파수 집성 혹은 병합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의 합이 20MHz를 넘는 경우 캐리어 집성이 20MHz의 광대역보다 더 빠른 속도를 나타낼 수 있어 속도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20205G 이동통신 상용서비스 단계에서 수Gbps의 비트율로 홀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 특허기술의 핵심인 캐리어 집성기술의 기술표준화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저자
Qualcomm Incorporate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65855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74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