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집단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의 실체
- 전문가 제언
-
○ 본 리뷰는 29페이지에 걸쳐서 메르스에 대해서 현재까지 알려진 핵심 정보의 다수를 소개하고 있다. 메르스의 역사, 바이러스의 성상, 진단, 병원성, 전파 및 치료제 등 거의 모든 현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리뷰에서 소개하는 많은 지식들은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메르스의 관리에 큰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을 자세하게 분석해 보면 현재의 유행 양상이 중동에서의 유행 양상과 크게 다른 점이 없음을 알 수 있어 앞으로의 대책에 좋은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2015년 6월 4일 현재 세계보건기구가 집계한 메르스 환자 수는 1,154명이며 431명이 사망하였다. 이러한 숫자는 환자와 사망자가 압도적으로 다수인 사우디와 이미 둘째로 많은 한국을 포함하고 있다. 6월 18일 현재 국내의 환자 수는 162명이며 사망자는 20명에 이르고 있다. 사우디와 중동 국가 이외 대부분의 다른 나라에서의 감염자 수가 3, 4명 이내 임을 감안할 때, 이번 국내 유행은 극히 예외적인 사태로 생각된다.
○ 현재 메르스의 관리에서 많은 부분을 세계보건기구의 기준과 지침을 받고 있다. 그러나 메르스 바이러스는 새로이 확인된 것이 불과 3년 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아직도 많은 부분이 불분명한 상태에 있다. 과거 에이즈나 SARS에 비하여 진단제 개발 등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의 개발 분야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대단히 많다.
○ 메르스는 전파력이 대단히 큰 호흡기 질환으로 국민의 건강은 물론이고 경제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 이미 진단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진척된 상태에 있다. 국내의 다수 기업과 연구진에서도 관련 제품의 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SARS에서 보듯이 간헐적으로 끝나는 유행 질환의 경우 경제성의 부족으로 기업에만 의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국가가 관련 미해결 과제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Ian M. Mackay, Katherine E. Ard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02()
- 잡지명
- Viru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0~88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