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캐스팅 주조에서의 가시화
- 전문가 제언
-
○ 다이캐스팅 주조에서 용탕흐름의 가시화는 쉽지 않으나 실제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현상을 직접 관찰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최근 용탕흐름이나 응고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상당히 발달하여 실용적으로 이용하게 되었으나 그 정도는 실제와 비교하지 않으면 확실치 않다.
○ 여기서 가시화 방법에는 투명한 주형을 사용하는 방법과 X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투명 주형은 외부에서 들여다 본 흐름밖에 알 수 없으나 비용이 적고, X선 방법은 설비가 고가로 이용이 한정적이며 알루미늄합금 시험 시 알루미늄합금과 강의 X선 투과율 차이가 공기와 강의 투과율에 가깝기 때문에 식별이 어려운 점도 있다.
○ 가시화 방안으로 최근에는 중성자선을 이용하는 방법, 초음파를 이용하여 금형 내 알루미늄의 유동과 응고를 계측하는 방법, 아크릴판이나 운모판을 이용하여 내부를 관찰하면서 고속 카메라로 기록하는 방법 등이 동원되어 좀 더 현상 파악에 접근하고 있다.
○ 다이캐스팅의 주된 결함은 특화된 주조 시뮬레이션 개발로 해결되어 가고 있다. 주조 시뮬레이션의 역사는 1970년대에 미국 GE의 연구자에 의하여 컴퓨터 해석방법이 적용된 것이 최초이며, 1982년경에 일본에서 응고 시뮬레이션이 실용화되었다. 1983년에는 Pittsburg 대학연구소에서 용탕 흐름에 적용하게 되었다.
○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종래의 블랙박스였던 형 내의 용융 금속 유입 모양이나 응고과정을 수치해석으로 컴퓨터상에서 가시화 하여 주조 방안을 검토하고 설계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으로 최근 가시화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 국내에서도 다이캐스팅의 주조 가시화에 관심이 높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등록번호 10-0682029(2007년9월7일)로 용탕충전 가시화 장치를 특허등록하고 있으나 국내의 연구는 아직 활발치 못한 것 같다.
- 저자
- Ohnaka Itsu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30(3)
- 잡지명
- 型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3~27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