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닛산 자동차의 단조 및 주조형 제조기술 개발과 동향

전문가 제언

화석연료의 고갈, 환경문제 심화로 자동차의 고효율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경량 고강도의 새로운 재료 개발이 촉진되고 있다. 또한 금형 선진사들은 고급금형강 소재에 대한 특허권을 많은 부분에선 점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다양한 고급 금형강 소재에 대한 신속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Nissan 자동차에서는 단조와 주조(특히 다이캐스팅 금형)의 형 수명 연장은 금형 교환회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금형의 러닝 코스트를 삭감하며 품질 로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세계화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에 앞서가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금형 제조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는 그 내용을 소개하였다.

 

국내에서의 공구강 재료는 SKD61의 열강공구강을 주로생산하고 있다. 생산업체는 두산중공업, POSCO 특수강, 세아베스틀 등이 있지만 금형재료의 기능적 특성 외에 피삭성, 열처리 후의 치수정밀도 및 기지재의 미세조직의 균일도 등을 고려하면 일본 및 유럽 여러 나라들과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금형산업은 CAD/CAM System보급 및 NC공작기계의 성능향상 등의 기술 혁신으로 품질향상에 큰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 120여 개도국에 수출을 꾸준히 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금형제작기술의 역사는 짧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고 하겠다.

 

Nissan 자동차와 같이 종래의 가공방법에서 면밀한 관찰과 시험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 안정성을 높이고 있는 보고는 확인되고 있지 않으나 국내에서도 금형가공시 절삭력 최적화를 이용한 가공시간단축과 표면조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합금공구강을 기계 가공한 시편과 와이어 컷 방전가공한 시편의 가공면 표면 특성 비교 분석등 금형 가공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자
Mitamura Kazuhir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30(2)
잡지명
型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22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