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품위 은광석의 광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부유선광 은회수 평가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세계적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은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면서 은(Ag)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자연에서 은은 광범위하게 분포하는데 경제성이 있는 은을 함유하는 광물은 200개 이상이 된다. 많은 광상에서 은은 보통 5∼10여 개의 은 광물에 배태한다. 은 광물과 유화광물 내에 고용체로 산출하는 은을 추출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부유선광법이다.
○ 부유선광 실험을 거처 얻어진 산물, 정광 및 광미 등에 대한 종합적인 광물학적 특성 연구가 광물 단체분리도 분석기(MLA), 유도결합 플라즈마질량분석법(ICP/MS)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부유선광 산물(최고품위 116ppm)의 광물학적 특성의 결과는 대부분의 은이 고용체로서 황철석 내에 산출한다는 점이다.
○ 유도결합 플라즈마질량분석법(ICP/MS)은 극미량 분석을 위해 이온생성장치인 ICP와 생성된 이온을 검출하는 질량분석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80여 원소를 ppt 수준까지 정성은 물론 정량까지 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 동위원소 희석에 의한 절대분석이 가능하므로 광물탐사, 첨단산업분야, 공해 및 환경분야, 식품 및 의약품분야에서 요구되는 극미량분석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 광석에서 은을 찾기 위해 광물학적인 특징을 개발해야 하는 것은 가장 적절한 기법이다. 이러한 특징에서 얻을 수 있는 열쇠는 주종을 이루는 은의 집합체에서 개개의 은을 이해하고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목적하는 황철석의 부유선광 과정을 개발하는데 응용된다.
○ 우리나라에는 많은 금 광산이 분포하는데 대부분의 금광상은 저품위의 은 광물을 배태하고 있다. 지난 2014년 9개의 광산에서 3,289kg의 은을 생산했지만 내수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금 광산 폐석에 함유된 저품위 은 광석에서 은을 회수하기 위해 유용광물과 맥석광물의 회수율, 크기 및 단일광물에 대한 연구와 평가가 중요하며 이를 통한 폐석에서의 은 회수가 기대된다.
- 저자
- J. Quinteros, E. Wightman, N.W. Johnson, D. Bradshaw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74()
- 잡지명
- Minerals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0~155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